중요한 건 이걸 따로
계산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그냥 네이버에 적금 계산을 검색하세요.
그러면 아주 친절하게도 적금계산기가 나옵니다.
여기서 매월 넣을 돈과 적금기간을 설정하고 단리 %를 넣으면 바로 계산됩니다.
자, 안타깝게도 일자가 달라지는 자유적립식으로 계산은 힘듭니다. 각 납입일 간의 간격이 일정치 않기 때문입니다. 그냥 정기적으로 넣는다 생각하고 계산하세요. 그래서 매월 같은 금액을 넣는다고 가정해야합니다.
적금기간은 최소 6개월입니다. 물론 각 은행별로 특정 상품으로 3개월, 1개월짜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통상 6개월 이상입니다.
연이자율은 별 말 없으면 단리입니다. 그리고 월복리적금이어도 다~ 단리였을 때와 비교해서 계산한 금리이기 때문에 월복리라고 해서 이자가 많지는 않습니다.
이자과세는 별 말 없으면 일반과세입니다. 비과세는 특정 계층이 아니면 못해요. 나이가 만 65세를 넘겼거나 국가유공자여야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해당이 안되죠. 세금우대는 수협이나 새마을금고 정도에서 가능합니다. 그것도 출자금통장을 만들었다는 전제로 하는건데 시중은행에서는 만나기 쉽지 않습니다.
자, 위와 같은 내용을 참고하여 적금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기타 > 적금, 예금, 저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납이연 (0) | 2022.08.16 |
---|---|
훈련소 적금 (0) | 2022.08.15 |
청년희망적금 자동이체 실패? (0) | 2022.06.28 |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금리 (0) | 2022.06.20 |
군인적금 훈련소에서 만들면, 당연히 늦게 만듭니다.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