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의 이자 계산
정확히 말하면 정기적금의 이자계산입니다. 다만 자유적금도 매월 같은 일자에 납입하게 되면 정기적금처럼 계산이 가능합니다.
조건1. 월마다 1만원씩 저축
*만약 10만원을 넣으신다면 ×10 하시면 됩니다.
조건2. 매월 같은 날짜에 납입
*개월마다 넣기 때문에 금리를 12로 나눠서 예치월수를 곱합니다.
**만약 다른날에 넣는다면 금리를 365일로 나눠서 예치일수를 곱하면 됩니다.
조건3. 금리는 0.1%로 가정 (보통 금리는 아무말 없으면 1년 기준입니다.)
*일반, 자유입출금통장의 금리와 같습니다.
**만약 2.2%의 적금을 가입한다면 ×22 하시면 됩니다.
조건4. 1년으로 가입합니다.
*2년이 되면 예치월수/일수만 달라질 뿐입니다.
1년, 0.1%, 월 1만원
2019.01.01에 가입하여 2020.01.01에 만기합니다.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5일 동안 예치되고 2020년 1월 1일 0시부터 만기해지가 가능합니다.)
그러면 첫날 넣는 돈은 1월 1일에 넣어서 총 365일, 12개월을 예치하게 됩니다. 그러면 받는 이자는 12개월의 금리를 곱해서 나온 이자가 되므로, 10,000 × 0.1% ÷ 12 × 12 가 됩니다. 12가 3의 배수이기 때문에 계산이 복잡해지므로 중간 식의 이자는 결과값까진 구하지 않겠습니다.
두번째 넣는 돈은 2월 1일에 넣어서 11개월 동안 예치하게 되므로 예치월수는 11개월이 됩니다. 10,000 × 0.1% ÷ 12 × 11 만큼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세번째 넣는 돈은 10개월 동안 예치하므로 10,000 × 0.1% ÷ 12 × 10 이 되죠.
쭉 가다가
12월 1일에 넣는 돈은 12번째 넣는 납입금액이 되며 1개월 동안만 예치되므로 10,000 × 0.1% ÷ 12 × 1 만큼 받게 됩니다.
이 식을 모두 더하면 (결합법칙을 사용하여 간단히 표현하면) 10,000 × 0.1% ÷ 12 × (12 + 11 + 10 + ~ + 1) 이 됩니다. 1에서 n까지의 합을 구하는 공식 n(n+1)/2 공식을 쓰면 10,000 × 0.1% ÷ 12 × 12 × 13 ÷ 2 가 됩니다. 더 간단히 표현해주면 10,000 × 0.1% × 6.5가 됩니다.
즉, 1년짜리 적금을 가입하게 될 때, 월마다 납입하는 금액×금리×6.5를 하면 이자가 나옵니다. 2년짜리의 경우에는 n이 24가 되므로 12.5를 곱해야합니다. 재테크 책에서 나오는 6.5 12.5 라는 숫자가 여기서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월마다 10,000원씩 0.1% 짜리 상품에 가입하면 1년 후 받게 되는 이자는 65원이 됩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65원의 15.4%를 세금으로 떼고 나면, 우리가 실제로 받게 되는 이자는 54.99원이 되고 보통 올림을 해주기 때문에 받는 이자는 55원이 됩니다.
월 1만원씩, 0.1% 적금에 1년 가입하면 나오는 이자는 55원
이런 적금이 어딨냐?! 라고 하시겠지만 그런 상품은 없지만 우리가 흔히 쓰는 자유입출금통장의 금리가 이렇습니다ㅎㅎ 물론 계산은 조금 다릅니다.
ex. 만약 1년짜리 적금을 매월 10만원씩 넣고 2.2%로 가입했다면 받게 되는 이자는
55원 × 10 × 22 = 12,100원입니다. (더 정확하게 계산한다면 55가 아닌 65를 넣고, 나온 결과값에서 세금을 떼시면 됩니다.)
만약 2년짜리 적금을 매월 10만원씩 넣고 3.0%로 가입했을 때 받게 되는 이자는 10만 × 3.0% × 12.5 × 0.846 = 31,725원입니다.
'2 적금, 예금, 저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질문, CMA를 굳이 추천하지 않는 이유 (0) | 2019.08.21 |
---|---|
재테크 질문 - VIP통장, 통장 개설 (0) | 2019.08.20 |
적금의 가입, 해지, 중도해지, 재가입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0) | 2019.08.17 |
2019 군적금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기간, 15개월 (0) | 2019.08.16 |
적금의 의미 = 돈을 쓰지 않는다. (0) | 2019.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