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계좌(펀드), 연금저축보험 등 연금저축상품의 연간 납입 한도 연금저축상품 연 납입 한도 돈을 많이 번다면 더 채워서 연금을 더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왜 연금저축상품에 연 납입한도가 있을까? 바로, 연금을 지급받을 때 적용하는 연금소득세가 혜택이기 때문이다. 혜택에 한도를 두기 위해 연간 납입 한도를 둔다. 그 한도가 바로 1800만원 은행을 통해 연금저축신탁을 넣든 증권사 통해 연금저축계좌(펀드)를 넣든 보험사 통해 연금저축보험을 넣든 각각 넣든 다 넣든 상관없이 총 납입한도는 1800만원이다. 1800만원 그보다 더 넣고 싶을 때는 연금보험을 추가로 더 들면 됨. 보통 연금보험을 드는 이유가 연금소득/이자소득 비과세를 위함인데 연금저축OO상품에서 이미 1800만원을 넣었다면 비과세 대상이 안된다. 이자 나중에 떼도 되니까 연금을 더 붓고 싶다면 연금보험하란 얘.. 청년희망적금, 2021년 소득이 3600만원 넘어도 비과세 청년희망적금 비과세 2022년 판매 당시에는 2020년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된 사람이어도 2021년 소득이 3600만원을 초과하면 비과세를 해주지 않았음. 그런데 이번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으로 2021년 소득이 3600을 넘었던 말던 청년희망적금 만기한 사람은 모두 비과세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서울 생활권자가 77,500원 이상 교통비를 쓸 때 기후동행카드가 좋다. 서울을 벗어나는 일이 여러번 있다면, 사실상 알뜰교통카드가 최고 알뜰교통카드는 5월부터 각 지역별로 이름이 바뀔 예정이다.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국토교통부 카드는 K-PASS가 되고, 여기에 경기도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을 붙여서 The 경기패스가 나오고 인천만의 교통비 지원사업을 붙여서 인천 I-PASS가 나온다. 그니까 결국엔 현행 알뜰교통카드랑 같다는 소리. 일반적으로 20% 환급을 해주는 교통카드다. 20% 환급을 기준으로 하면, 기후동행카드 62,000원과 비교하여 77,500원이 기준선이 된다. 서울만 돌아다니는 경우 77,500원 이하로 사용하면 알뜰교통카드 77,500원 이상 사용하면 기후동행카드 경기도에 가는 일이 한달에 몇번씩 있다면, 알뜰교통카드가 최고다. 난 주 서울생활권인데 가끔 가..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 40만원씩 넣는 것도 가능 청년희망적금~청년도약계좌 연계는 40만원도 가능 청년도약계좌 연계할 때의 예시를 70만원씩 18개월로만 말해서 의문이 드는 것이었는데, 월 40만원씩 넣는 걸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월 40만원~70만원으로 10만원 단위 설정 가능 2 일시납 금액은 최소 200만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까지 가능 3 일시납 기간은 최소 3개월부터 32개월까지 설정 가능 즉, 월 40만원씩 청년도약계좌를 연계한다면 최소 200만원에 맞는 5개월부터 일시납이 가능하다. 5개월만 일시납하고 6개월부터 돈을 넣는 것도 가능하고 32개월로 설정해서 33개월차부터 돈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일시납 기간이 끝난 후에는 월 70만원 한도 내로 자유적립이 가능하다. 일시납 기간 동안 추가 입금에 대해서는 따로 말이 없어서.. QR코드 + 피싱 = 큐싱 사기 수법 불법주차 경고 스티커에 QR코드를 넣고, 찍게 해서 불법 앱을 다운로드 시키는 큐싱사기가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QR코드 위치마다 이런 불법행위를 저지를 수 있으니, 심각한 범죄다. 따릉이에 붙여놓을까봐 겁나서, 요샌 따릉이 탈 때마다 번호로 입력해서 타거나 스티커 붙여져 있지 않은지 검사하고 탄다. https://www.instagram.com/reel/C2EyysoqO4F/?igsh=MXN2bXpibzU4MmZhNw%3D%3D *인스타그램 릴스 컨텐츠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632 QR코드 사기 '큐싱' 범죄 급증, 전문가가 권하는 예방책은? - 이코리아 [이코리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우리에게 익.. 토스 외화통장 출시 토스 외화통장 환전 수수료 우대 100%를 평생! 결제 수수료도 따로 없이 해외 결제! 위 2가지만으로도 일반 시중은행들보단 나음 일반 시중은행들은 각 사업부, 서비스 앱 별로 우대율이 다 다른데 토스는 그냥 앱 하나로 100% 해주는 거니까 소비자입장에서는 아주 편함 환테크는 본인 선택의 문제ㅋㅋ 참고로 금리는 보통예금을 따라가므로 이자를 바랄 수 없다. 금리 0.1%밖에 안됨 이전 1 2 3 4 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