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의 관점에서 현실을 깨닫는 것.

반응형

경제적 자유의 관점에서

현실이란?

 

직장인 본업, 그 하나만으로서는

절대로 집도 차도 못산다는 것을 알고

끊임없이 공부하고 도전해야한다는 것

 

 

 

 

나는 쉴 수가 없구나

 

를 느끼는 것이 현실이다. 

 

 

 

 

 

그럴 때 우리가 할 일은 몇가지 없다. 

 

 

1 현재 다니는 직장의 소득을 늘리자

직무역량을 키워서 연봉협상, 성과급을 늘리자. 물론 직무역량에서 단순 skill은 돈을 내고 빠르게 배울 수 있지만 know how나 내공은 시간이 필요하다. 최소 대리 이상의 년차가 있을 때 비로소 직무역량의 기초가 쌓인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요즘 시대에 맞춰 워라밸 지키는 것도 좋지만) 라이프에서도 워크에 대한 생각을 놓지 않아야한다. 

 

 

 

2 더 높은 소득을 주는 업계로 이직하자

아무리 연령별 평균소득으로 자위를 한다 쳐도, 업계에 따라 연봉은 차이가 크다. 극단적인 예시로 보자. 마케팅,광고 업종은 10년을 일해도 4000이 안되는 좇소기업, 대행사들이 있다. 근데 금융권은 은행, 증권사만 해도 초봉 4천에 성과급 포함 5천을 찍는 경우도 있지 않은가? 

이미 경력을 많이 쌓아놔서 바꿀 수 없는 사람이 아닌 이상 이직도 시도할 일이다. 초봉이 달라진다는 것은 본인이 정말 사치스럽게 살지 않는 이상 가처분소득이 확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가처분소득이 많아지면 여유가 생긴다. 그만큼 다른 곳에 여유를 부담할 수 있다. 

 

 

 

3 서브잡, N잡을 시도하자

기본적으로 서브잡, N잡은 본업이나 본인이 가진 취미에서 파생되는 일이다. 이미 남들보다 조금은 더 잘아는 상태에서 여러가지 일을 대신 해줌으로써 파이프라인을 1개 더 늘리는 것. 

 

 

 

4 긱잡을 시도하자

워낙에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 많은 시대다. 그게 낯설어서 해보지 않은 일이었을 뿐이지. 커리어와 전혀 연관이 없는 일이 대다수다. (배달, 심부름) 이 정도는 한 번 해볼 만하다. 배달 WALKER는 잘 안걸리니까 최소 자전거로 하길..

 

 

 

5 그 외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맨날 돈 없다고 한탄하면서 신용카드를 조이는 것

- 대출 땡겨서 집 사고, 빚 갚아 나가는 것

- 운좋게 코인 투자 성공하기

- 로또 당첨되기

 

반응형